카테고리 없음

역도 인상과 용상: 차이점과 특징

똑똑이11 2024. 8. 6. 15:01
반응형

역도는 강력한 체력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로, 주로 두 가지 주요 동작인 **인상(스내치)**과 **용상(클린 앤 저크)**으로 구성됩니다. 이 두 동작은 모두 바벨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것이 목표이지만, 각 동작의 기술적 차이와 접근 방식은 상당히 다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역도의 두 가지 주요 동작인 인상과 용상의 차이점과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인상 (Snatch)

동작 설명

  • 단일 동작: 인상은 한 번의 연속 동작으로 바벨을 바닥에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입니다.
  • 속도와 민첩성: 바벨을 빠르게 들어 올리면서 동시에 몸을 바벨 아래로 미끄러지듯 들어가 안정적으로 받쳐야 합니다.
  • 기술적 요구: 인상은 기술적 정교함이 요구되며, 균형과 민첩성이 중요합니다.

기술적 포인트

  • 출발 자세: 발은 어깨너비로 벌리고, 무릎과 엉덩이를 굽힌 상태에서 바벨을 잡습니다.
  • 풀(Pull): 다리의 힘을 이용하여 바벨을 몸 쪽으로 끌어올립니다. 이때 팔은 바벨을 당기기보다는 다리의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받기(Snatch): 바벨을 들어 올린 후 빠르게 몸을 낮추어 바벨을 머리 위에서 받습니다. 이때 발은 스쿼트 자세로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장점

  • 균형과 민첩성 강화: 인상은 전신의 균형과 민첩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속도 발전: 빠른 동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속도와 반응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역도 이미지
역도 이미지

 

2. 용상 (Clean and Jerk)

동작 설명

  • 이중 동작: 용상은 두 가지 주요 단계로 나뉩니다. 먼저 바벨을 어깨 높이로 들어 올리는 '클린(Clean)' 동작과 이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저크(Jerk)' 동작으로 구성됩니다.
  • 힘과 기술의 결합: 용상은 힘과 기술을 모두 필요로 하며, 각 단계를 정확하게 수행해야 합니다.

기술적 포인트

클린 (Clean)

  • 출발 자세: 인상과 마찬가지로 발은 어깨 너비로 벌리고, 무릎과 엉덩이를 굽혀 바벨을 잡습니다.
  • 풀(Pull): 다리와 엉덩이의 힘을 이용하여 바벨을 어깨 높이까지 끌어올립니다.
  • 받기(Catch): 바벨을 어깨에서 안정적으로 받기 위해 무릎을 굽혀 하프 스쿼트 자세로 들어갑니다.

저크 (Jerk)

  • 준비 자세: 어깨에 얹힌 바벨을 중심으로 상체를 고정합니다.
  • 디핑(Dip): 무릎을 살짝 굽히면서 하체에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 드라이브(Drive)와 받기(Catch): 다리의 힘으로 바벨을 위로 밀어 올리며 동시에 재빨리 자세를 낮춰 바벨을 머리 위로 받습니다. 이때 발을 앞뒤로 벌려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장점

  • 전신 근력 강화: 용상은 다리, 허리, 팔을 포함한 전신 근력 강화에 효과적입니다.
  • 파워 향상: 폭발적인 힘과 속도를 기르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

★인상과 용상의 차이점 비교

요소인상 (Snatch)용상 (Clean and Jerk)

동작 수 단일 동작 이중 동작 (클린 + 저크)
기술 요구 높은 기술적 정교함 필요 힘과 기술의 균형 필요
주요 요소 속도와 민첩성 힘과 파워
주요 근육 어깨, 코어, 다리 다리, 허리, 어깨
장점 속도, 민첩성, 균형 강화 전신 근력, 폭발력, 파워 향상

★결론

역도의 인상과 용상은 모두 복합적인 근력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도전적인 운동입니다. 인상은 단순히 바벨을 머리 위로 올리는 데 중점을 두고, 용상은 두 가지 단계를 통해 보다 복잡한 기술과 힘의 결합을 요구합니다. 각 동작은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운동선수는 전신 근력을 향상하고, 민첩성과 파워를 동시에 기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